[살며 생각하며] 한국과 인연이 깊은 발명왕 에디슨
전기자동차 구동원리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으로 모터를 회전시켜 주행하는 것으로 화석연료를 태워 에너지를 얻는 내연기관과 다르다. 따라서 전기차는 일반자동차와 달리 대용량 배터리는 기본이고 여기에 충전기(OBC·On Board Charger) 및 구동 모터, 힘을 제어하는 장비들로 채워져 있다. 특별히 차량에 부착된 충전기(OBC)는 가정 또는 충전소의 교류(A/C)전력을 직류(D/C)로 전환해 베터리로 보내는 필수장비다. 지난 2회에 걸쳐 발명왕 에디슨 이야기를 쓰면서 왜 일론 머스크가 전기차 브랜드를 ‘에디슨’이라 하지 않고 ‘테슬라’로 명명하였을까 하는 의문이 떠나지 않았다. 논리적으로 보면 전기차의 동력은 직류이므로 전기차에 어울리는 사람은 교류의 테슬라가 아닌 직류의 에디슨이 합리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에서였다. 그래서 며느리 등 주위의 미국 사람들의 의사를 확인해보니 누구도 에디슨에 대해 그렇게 호의적이지 않았다. 미국인들이 생각하는 위인은 결과도 중요하지만 과정의 진실성과 사람됨, 윤리적인 흠결을 참고하지 않나 싶다. 사실 토머스 에디슨은 전기자동차 분야에서 선구자적인 이력이 있다. 100년도 더 전인 1901년 니켈 철 전지를 개발한 뒤 10년 동안 5만번 이상의 시험을 통해 시속 160km를 달릴 수 있는 꿈의 배터리를 개발하고 이어 3대의 전기차 시제품까지 생산했다. 그러나 1만불이 넘는 배터리 개발비와 영하의 날씨에 작동이 잘 안 되는 등 여러 단점이 있어 대중화되지 못하고 중단되는 아쉬움을 남겼다. 만약 오늘날처럼 가스값이 비싸고 환경문제 등으로 인해 전기차가 시대적 과제였다면 모르긴 해도 그의 전기차 연구와 개발은 계속되었고 마침내 성공을 거두므로 오늘날 미국 및 세계의 대로는 테슬라가 아닌 에디슨의 전기차가 누비고 다니지 않을까 상상해본다. 2012년 11월 말, 필자는 본란에 ‘물불 이야기’라는 제목의 전기 이야기를 게재한 바 있다. 대강의 줄거리는 1883년 고종이 민영식, 황영식 등 대미사절단으로부터 에디슨의 백열등 이야기를 보고받고 경복궁을 전깃불로 밝히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1884년 9월 4일 Edison Electric과 발전설비 및 전기공급을 계약하고 1887년 3월 6일 경복궁을 전깃불로 밝히는 역사가 일어난다. 호롱불 내지 촛불이 고작이었던 조선 아니 세계에 밤만 되면 반딧불도 아닌 출처 불명의 희한한밝은 빛이 대낮 같이 쏟아지니 장안에 입소문이 났고 관람객이 줄을 이었음은 불문가지다. 그런 뒤 사람들이 이것을 ‘물불’이라 하였는데 이는 경복궁의 향원정 연못물을 먹고 불이 뿜어져 나온다고 상상하면서였다. 실제로 에디슨의 전기회사는 3kW 증기 발전기 두 대를 돌리는 냉각수를 향원정을 이용했는데 덕분에 수온이 상승하여 연못의 금붕어가 폐사하는 웃지 못할 일도 생겼다고 한다. 아무튼 이 사업은 에디슨이 특별히 지명하여 조선에 파송한 기술자가 불의의 사고로 사망하면서 더는 좋은 인연으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강원도 강릉에는 여러 볼거리가 많은데 그중 하나가 ‘참소리 축음기 에디슨 박물관’이라고 한다. 에디슨의 생가가 있는 뉴저지 웨스트오렌지와 플로리다 포트메이에 그의 박물관이 있지만 이곳 강릉의 박물관의 유물이 훨씬 값지고 많다고 한다. 무엇보다 에디슨이 발명해낸 전기차 3대 중 한 대가 이곳이 전시되고 있다고 하니 놀랍다. 김도수 / 자유기고가살며 생각하며 발명왕 에디슨 발명왕 에디슨 축음기 에디슨 전기차 브랜드